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3

통계로 보는 수산업 (10) 2022년도 어선 척당 수산물 생산량은? 정부가 2000년 경 부터 어선감척사업을 시작하면서 연근해어선 척수는 매년 감소세에 있습니다. 기존 어선들은 감척사업을 통해 줄여나가고 신규 어업허가를 내주지 않는 형태로 어선의 수를 줄여온 것이죠. 이처럼 어선을 줄이게 된 것은 크게 두가지의 원인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유엔해양법의 발효입니다. 1994년 11월 16일 유엔해양법이 발효되면서 우리나라는 2000년 전후로 중국, 일본과 어업협정을 체결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 어선들의 조업면적은 과거에 비해 조업어장이 약 23% 가량 축소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어장이 좁아졌지만 어선이 줄지 않다보니 국내 어선들이 바다에 가하는 어획압력이 훨씬 높아지게 됐습니다. 두 번째는 수산자원의 감소입니다.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1986년 172만5820톤.. 2022. 9. 16.
통계로 보는 수산업 (9) 내국인선원의 빈자리 메우는 외국인선원 EBS극한직업에는 어업의 사례가 굉장히 많이 나옵니다. 말 그대로 '극한' 직업이기에 많이 나오는 것이죠. 그렇다면 어업은 왜 극한직업의 단골출연자가 됐을까요? 이는 어업이 시대상에 맞게 옷을 갈아입지 못하고 옛날 옷을 그대로 입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만난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선어업은 3D직업을 넘어 4D직업이라고요. 보통 3D직업은 더럽고(Dirty) 위험하고(Dangerous), 어려운(Difficult) 일을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어선어업은 3D에 더해 원격성(Distance)이 더해져 사람들이 더 꺼리고 있다는 것이죠. 원양어선에 승선했던 경력이 있는 해양수산부의 한 공직자는 어선원들이 스스로를 일컬어 선원이 아니라 '뱃놈'이라고 부른다고 회고하기도 했습니다. 이 때문에 해기사.. 2022. 9. 14.
[가민 피닉스7X] 대전 천변 달리기 지난주 토요일부터 3일연속 달리기를 했더니 오른쪽 무릎과 왼쪽 발목에 부담이 느껴지는 화요일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6분 페이스로 5km를 뛰고 5km를 걸으려고 계획했으나, 또 욕심이 나서 10km를 모두 달렸습니다. 가민이는 몹시 피로하니 회복을 늘리라고 하는데 또 뛴거죠. 그래도 달리고 나니 상쾌합니다! 내일은 뛰지도 걷지도 말고 쉬는 날로 해야겠습니다. 첨단문명은 저같은 의지박약도 꾸준히 달리게 합니다. 2022. 9. 13.
런린이의 러닝용품 리뷰 (2) 잠스트 RK-2 전 살면서 보호대를 껴본거라고는 웨이트트레이닝용 장갑과 리프팅 스트랩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달리기를 하다보니 보호대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일이 있었습니다. 바로 부상!이죠. "러닝에 왠 부상?"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겁니다. 사실 저도 처음 달리기를 시작할때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넘어지거나 충격을 받아서 다치는 부상이 아니라, 쉬어야 할때 쉬지않아서 생기는 관절부위 부상이었던건데, 그걸 몰랐습니다. 러닝을 시작하고 두달즈음 됐을때 첫 부상이 찾아왔습니다. 무릎통증이었습니다. 통증이 상당했기에 무릎보호대를 알아봤습니다. 그리고 눈에 들어온게 잠스트였습니다. 저도 몰랐던 브랜드였는데(보호대에 관심이 없었으니 당연할것같습니다.) 부위별로 잘 나눠져있고, 무릎은 운동별로 다르더군요. 그래서 선택한건 러닝용.. 2022. 9. 13.
[가민 피닉스7X] 천변 러닝 오늘은 휴식런으로 가민의 코치기능대로 달렸습니다. 전 분명히 4개월 후 하프마라톤 2시간 10분을 목표로 한다고 설정을 했는데, 아직 초반이라 그런지 너무 초급의 훈련코스를 두는 듯 합니다. 어제 무리를 했기에 휴식런으로 목표페이스 반복입니다. 페이스 반복은 6분10초~6분50초로 매우 느립니다. 무의식중에 달리면 여지없이 가민이 속도가 빠르다는 알람을 날려줍니다. 2022. 9. 12.
통계로 보는 수산업 (8) 노인만 남는 어촌 지방소멸에 대한 관심도가 그 어느때보다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인구는 지난해부터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간 의료기술의 발달 등에 따른 고령인구의 증가에 힘입어 출산율이 낮아지더라도 인구는 늘어왔습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출생아수가 사망자수보다 적은 '인구 데드크로스'가 나타났습니다. 사실 어촌에서 인구의 데드크로스는 큰 일이 아닙니다. 어가인구는 오래전부터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었으니까요. 우리나라 어가인구는 2003년 21만2104명에서 꾸준히 감소해오다 2020년에 9만7062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어가인구 10만명이 무너졌습니다. 반면 어가인구의 급격한 감소에도 만 65세 이상 고령어가인구는 오히려 늘었습니다. 2003년 3만3802명이던 65세 이상 고령어가인구는 어가인구의 감소에도 감소하.. 2022. 9. 12.
[가민 피닉스7X] 천변 러닝 오늘은 집으로 돌아와 천변을 달렸습니다. 목표는 10킬로미터 50분컷이었는데, 7.8km 지점부터 왼쪽 무릎에 통증이 느껴져 8킬로미터에서 중단했습니다. 그래도 8km를 39분대에 끊었으니 조만간 10킬로 49분대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아...그리고 달리기 초보분들은 뛰다가 무릎, 발목에 통증이 있으면 즉시 멈추고 휴식을 취하면서 통증이 어떤지 살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저도 처음 달릴때 휴식시간 제대로 안지키고 무식하게 뛰다가 무릎 부상으로 2주 넘게 자전거+걷기만 했습니다. 2022. 9. 11.
[가민 피닉스7X] 오성제 러닝 2022.09.10 (금) 가민 코치기능을 활용한 러닝기록입니다. 거리 12.3km 평균페이스 5:51 러닝페이스5:29 2022. 9. 11.
한국형 MSC인증을 만들어야 할까? 우리나라에서도 지속가능어업인증을 받은 수산물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기장물산에서는 미역으로 MSC-ASC인증을 받았고 덕화푸드는 명란 제품에 MSC인증을 부착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의 원양기업인 동원산업도 MSC인증을 받았으며 대형마트에서도 이제 간간히 MSC인증을 받은 수산물을 찾아볼 수 있게 됐습니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MSC인증을 대신할 수 있는 이른바 '한국형 MSC'인증을 만들자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한국형 MSC를 만들자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MSC인증의 문제점을 지적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외국기업을 돕는다'라는 얘기입니다. 이는 사실 MSC인증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지적일것입니다. MSC는 기업이 아니라 다국적 비영리단체입니다. 수익을 내기 위해 존재하는 조직이 아니라 .. 2022.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