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해어선2

통계로 보는 수산업 (10) 2022년도 어선 척당 수산물 생산량은? 정부가 2000년 경 부터 어선감척사업을 시작하면서 연근해어선 척수는 매년 감소세에 있습니다. 기존 어선들은 감척사업을 통해 줄여나가고 신규 어업허가를 내주지 않는 형태로 어선의 수를 줄여온 것이죠. 이처럼 어선을 줄이게 된 것은 크게 두가지의 원인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유엔해양법의 발효입니다. 1994년 11월 16일 유엔해양법이 발효되면서 우리나라는 2000년 전후로 중국, 일본과 어업협정을 체결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 어선들의 조업면적은 과거에 비해 조업어장이 약 23% 가량 축소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어장이 좁아졌지만 어선이 줄지 않다보니 국내 어선들이 바다에 가하는 어획압력이 훨씬 높아지게 됐습니다. 두 번째는 수산자원의 감소입니다.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1986년 172만5820톤.. 2022. 9. 16.
통계로 보는 수산업 (3) 어선척수와 수산업의 생산성 어선은 어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생산수단입니다. 이 때문에 어선과 관련한 통계는 수산업의 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에서 하나의 기준점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어선 척당 얼마만큼의 수산물을 생산했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이죠. 연도별로 보면 동력어선은 감소세에 있습니다. 1992년 4만9583척이었던 연근해어선은 2001년 6만4500척까지 늘었다가 지난 2019년에는 4만130척으로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어선의 총 선복량도 감소세에 있습니다. 국내 연근해어선의 총 선복량은 1992년 44만1070톤에서 2019년 24만8173톤까지 줄었습니다. 어선척수나 선복량에 비해 어선의 성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마력수는 오히려 급증했습니다. 연근해 어선의 총 마력수는 1992년 480만2381마력에서 2019년 1.. 2021.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