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할 것인가4 한국의 능력주의 리뷰 최근 능력주의와 관련한 책을 세권 읽었습니다. 마이클 샌델의 공정하다는 착각을 시작으로 박권일 씨의 한국의 능력주의, 김동춘 교수의 시험능력주의 등 3권입니다. 세권을 읽고 저도 반성을 했습니다. 그간 저도 '능력주의의 폭정'에 길들여져있었던 것이 아니었나 하는 반성이죠. 이 책의 부제는 참 재밌습니다. 한국인이 기꺼이 참거나 죽어도 못 참는 것에 대하여! 한국의 능력주의는 '그건 참아도 이건 못참지!'라는 프롤로그를 시작으로 5부에 걸쳐 한국의 능력주의가 어떻게 형성됐고 무엇이 문제인지, 그리고 능력주의에 대한 대안이 무엇인지를 살핍니다. 사실 우리나라는 뿌리깊은 능력주의에 대한 신화가 있는 나라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저자의 표현대로라면 '한국은 자본주의-능력주의 체제의 최첨단에 선 사회이다.' 입.. 2022. 9. 10. 공정하다는 착각 리뷰 최근 수년간 대한민국을 시끌시끌하게 만든 화두는 바로 '공정'입니다. 그 공정의 저변에는 '능력에 맞는 대가'를 염두에 둔 말들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공정이 화두가 된 대표적인 사례는 인천국제공항, 이른바 '인국공 사태'입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의 첫 사례가 인천국제공항의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공항공사 노동조합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기회는 불평등, 과정은 불공정, 결과는 역차별이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청년들도 공사에 입사하기 위해 스펙을 쌓고 시험을 치른 이들에 대한 역차별이라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비난했습니다. 이런 세태에서 세계적 석학이라고 할 수 있는 마이클 샌델의 '공정하다는 착각'은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함의가 있어보이기에 이 책.. 2022. 9. 9. 선량한 차별주의자 리뷰+비판 제목과 출판사의 힘으로 책을 한권 샀습니다. 전 창비사에 대한 동경 내지 선호가 있습니다. 계간으로 발간되는 창작과 비평 때문입니다. 또한 '차별'이나 '인권'의 문제에 대해선 다른 영역에 비해 관심이 많습니다. 그 덕에 아무런 생각없이 그냥 YES24에서 책을 하나 주문했습니다. '선량한 차별주의자' 출판사에 대한 신뢰도+제목에 대한 호기심. 이게 이 책을 사게 된 이유입니다. 책의 저자인 김지혜 씨는 자신이 무심코 썼던 '결정장애'라는 말로 책의 서문을 시작합니다. 결정장애라는 표현의 '장애'가 '부족함' 내지 '열등함'을 의미한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로 말이죠. 사실 저도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대학 재학 시절 아르바이트를 한적이 있습니다. 아르바이트를 가기 위해서는 40여분간.. 2021. 6. 7. 젠더갈등, 그리고 성찰 최근 GS25의 포스터를 두고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말이 많습니다. 남성에 대한 비하의 의도가 담긴 표식이 포스터에 담겼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젠더갈등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남성을 혐오하는 집단의 표식(?)이 대기업의 홍보물에 게재됐다니 작은 일은 아닙니다. 이 때문에 남성이 주류를 이루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GS그룹 전체에 대한 불매를 한다는 글이 수시로 올라오는가 하면 이제 유명한 방송 토론프로그램인 100분토론에서도 이 문제를 다루기도 했습니다. 사실 젠더갈등은 최근 수년간 한국 사회의 주요한 균열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강남역 살인사건과 미투운동으로 여성들이 본격적으로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바람직한 현상입니다. 하지만 여성들의 목소리가 커진 만큼 남성에 대한 무분별한 혐오도 커져가고 있.. 2021. 5.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