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텅 빈 바다

통계로 보는 수산업 (2) 수산물 생산금액

by IsKra3181 2021. 5. 25.

우리바다인 연근해에서의 어업 생산액 2020년 기준으로 7조261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우리나라 국내 총생산이 1924조원에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굉장히 미미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식량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데다, 지역사회의 유지·발전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기에 무시할 수는 없는 산업이기도 합니다. 

이 그래프는 연근해어업이라고 불리는 일반해면어업과 바닷가에서 이뤄지는 양식어업의 생산액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연근해의 수산물 생산액은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물가상승에다가 소득증가로 수요가 늘어난 반면 수산자원감소 등으로 공급량이 감소, 수산물 가격이 증가한데 따른 것이라고 짐작이 됩니다.

특징적인 것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소비가 위축됐다고 하지만 오히려 생산액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것입니다. 흔히 '평년'이라고 하는 최근 5년에 비해서도 한참높은 수준입니다. 2015~2019년 5년간 연근해의 어업생산금액 평균이 6조5121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11.49% 가량 많은 수치입니다.

위의 그래프는 상당히 재밌는 것을 보여줍니다. 25만톤 수준에 육박하던 살오징어 생산량은 서서히 줄어들다가 2016년부터 급격하게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2018년에는 5만톤에도 미치지 못해 생산량이 가장 많았을때에 비해서는 1/5 수준까지 줄었습니다. 하지만 생산금액은 급격한 하향곡선을 그리는 생산량과 달리 하락폭이 크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2020년에는 생산량이 많았던 2015년보다 생산량이 절반에도 한참 미치지 못하지만 생산금액은 더 많습니다. 결국 국내 소비자들이 그만큼 비싼 값을 지불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통계는 누구나 확인할 수 있지만 단순한 수치 넘어의 행간을 읽으려는 노력이 있다면 똑같은 사안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가 통계자료를 공유하는 이유와도 닿아 있습니다. 알리기를 희망하는 정보만을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보다 능동적으로 정보를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니까요.

살오징어 생산량 및 생산금액.xlsx
0.01MB
어업생산액.xlsx
0.02MB

https://sea-inourtime.tistory.com/6

 

통계로 보는 수산업 (1) 수산물 생산량

하나의 산업이 처한 상황을 살펴볼 때 가장 손쉬운 접근법은 바로 통계이고, 그중 가장 신뢰도가 높은 것은 국가가 제공하는 것입니다. 물론 통계의 신뢰성을 두고 많은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지

sea-inourtime.tistory.com

 

댓글